본문 바로가기
초등학생 공부법

초등학생을 위한 국어 공부 방법

by 이너라의 학습하는 라이프 2025. 4. 17.

 

초등학생을 위한 국어 공부법

 

초등학생의 국어 공부는 단순한 암기보다는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능력을 고르게 키우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래에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방법을 학년별로 나눠서 정리합니다.

 

1. 공통 핵심 원칙 (전 학년 공통)

 

전 학년 공통으로 일상에서 국어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말하기, 듣기, 책 읽기, 글쓰기 활동을 매일 자연스럽게 일상적인 활동처럼 반복하는 것입니다. 꾸준하게 매일 책을 읽는 습관을 갖도록 노력합니다. 관심이 있는 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주제의 책을 읽을 필요가 있습니다. 다양한 주제의 책읽기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어휘력, 이해력,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2. 학년별 특징과 학습 방법

 

🟡 1~2학년 (기초 다지기 단계)

1~2학년 학생을 위한 국어 교과목의 목표는 글 읽기 능력 향상, 기초 어휘력 및 문장 구성 능력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한 문장 일기: “오늘 뭐 했는지 써볼까?” 간단히 쓰기, 맞춤법은 나중에!

읽기 훈련: 동화책 소리 내어 읽기 읽은 내용 말로 설명하게 하기

국어 교과서 같이 읽기: 등장인물, 장면 설명해보는 연습

문장 놀이: “사과가 OO하다다양한 형용사 넣기 놀이로 어휘 확장

 

🟢 3~4학년 (기초 활용 단계)

3~4학년 학생들은 독해력과 자기 표현력 키우는 것을 목표로 설정합니다.

독서 후 말하기/쓰기: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간단한 독후감 쓰기

어휘 확장: 비슷한 말, 반대말, 사자성어 카드놀이

문단별 요약 연습: 신문이나 짧은 글에서 중심 문장 뽑아보기

국어 문제집 병행: 하루 2~3쪽씩 문학/비문학 구분하며 풀기

 

🟡 5~6학년 (응용/심화 단계)

5~6학년은 국어 교과목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과 글쓰기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비문학 독해 연습: 설명문, 논설문 읽고 요지 파악

토론식 대화 훈련: “찬성 vs 반대주제로 말해보기 주장 + 근거 말하기

자기 생각 정리 글쓰기: 뉴스나 사건 관련 자기 생각 쓰기

기출 문제로 실전 감각 익히기: 독해 문제 집중 훈련 (EBS 초등국어 등 활용)

 

3. 추천 자료

 

다음과 같은 책을 대표적으로 추천할 수 있습니다.

1~2학년: 강아지똥, 우리 엄마

3~4학년: 마당을 나온 암탉, 구스범스 시리즈

5~6학년: 소년 한국사, 지식의 재발견

 

 

책을 싫어하는 아이를 위한 국어 공부법

 

1. 읽기 싫어? 그럼 들려줄게”!

 

책을 읽기 싫어한다면 억지로 책을 읽지 말고, ‘듣기로 시작해도 좋습니다. 오디오북이나 동화 유튜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EBS의 만화 국어를 보아도 좋아요.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다양한 자료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학습이 아닌 놀이처럼 접근해도 좋습니다. 반복해서 듣다 보면 자연스럽게 어휘력이 늘어나고,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 힘이 생깁니다. 듣거나 보고 난 후에 재미있는 장면에 대해 얘기해 보세요. 간단하게 말하는 훈련을 통해 내용이 더 잘 정리되는 효과를 경험할 수 있어요.

󰋮 참고자료: 네이버 오디오클립, 유튜브 '책 읽어주는 TV', '초등국어 만화책'

 

2. ‘말고 재밌는 글로 국어 감 잡기

 

책이 아닌 짧고 흥미로운 글부터 시작해도 됩니다. 웹툰, 잡지, 위인 이야기, 퀴즈 책, 수수께끼 책처럼 짧고 재미있는 글을 읽으며 국어 감을 잡는 훈련을 합니다. 국어는 지루한 과목이라는 고정관념을 깰 필요가 있습니다.

 

󰋮 참고자료

Who?시리즈

수학 도둑(국어 비문학 감각 키우기 좋음)

읽는 재미, 말하는 힘(짧고 재밌는 글)

 

3. 놀이 기반 어휘 학습

 

놀이처럼 어휘 학습을 할 수도 있어요. 단어를 카드로 만들어 게임식으로 진행합니다. : 뜻과 예문을 쓰고, 퀴즈처럼 맞춰보기도 할 수 있어요. 사자성어도 카드를 만들어 게임처럼 진행하면 재미있게 어휘 공부를 할 수 있어요. 부모님은 함께 카드를 만들어 게임식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 말하기/글쓰기로 '표현력' 살리기

 

말하기나 글쓰기를 정식으로 하려고 부담을 느낄 필요 없어요. 짧은 영상을 보고 느낌을 한 문장이나 단어로 말하거나 쓰는 것부터 시작해도 됩니다. 1~2분 분량의 감동적인 광고 영상을 보고 기억에 남는 장면과 이유를 찾아 말하거나 써봅니다. 또는 내가 되고 싶은 동물은 ___이다. 이유는 ___.” 이렇게 문장을 채워 넣듯이 써봅니다. 중요한 것은 완성도 높게 잘 쓰는 것보다 글이나 말로 표현해보는 경험을 갖는 것에요. 앞으로 논리적으로 말하고, 글을 잘 쓰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여정은 짧지 않으니 작은 경험을 소중히 생각하고 차곡차곡 쌓아 보세요.